적정 주가 구하는 만능 공식 – 슈퍼K 김정환

목차
    Add a header to begin generating the table of contents

    참조 : Super K – 슈퍼개미 김정환 유튜브
   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RFwvU1bBu2o&t=345s

    Ⅰ. 기업의 밸류에이션 방법

    1. 김정환 적정 주가 만능공식

    BPS × ROE = EPS

    ① 어떻게 기업의 밸류에이션을 하나?

    • 제가 여러분들한테 부탁하고 싶은 것은 ‘이 정도 공식은 알아두자 (특히 영어로)’
    • BPS 주당순자산, ROE 자기자본이익율, EPS 주당순이익
    • 이 정도는 외우자! (각 약자의 의미와 함께)

     

    ② BPS (Book-value Per Share, 주당순자산)

    • 주식 수 분에 순자산이 얼마나 되는가
    • B는 Book-value = 장부가치 = 총자본 = Equity (자기자본)
    • 따라서 위 공식에서 Book-valus와 Equity를 약분하면
    적정 주가
    • Return과 Earning은 같은 것임 (Return은 수익, Earning은 버는 것)
    • 그러므로 BPS × ROE가 = EPS가 됨

     

    ☑ BPS (Book-value Per Share, 주당순자산) (편집자 주 – 출처 : 해외투자용어사전)

    • 기업의 자산충실도가 주가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주당순자산이라고 함
    • 기업의 자기자본(=총자산-총부채)에서 무형고정자산(특허권, 영업권), 이연자산(창업비・개업비・신주발행비・사채발행비・연구개발비) 및 사회유출분(배당금, 임원상여금) 등을 제외한 것이 순자산인데,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이 주당순자산임
    • 주당순자산이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의 비중이 크고 실제 투자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업내용의 충실도와 직결됨
    • 특히 금융기관 및 광업 등의 업종에서는 주당순자산이 투자결정의 중심지표가 됨

     

     

    ③ EPS (Earning Per Share, 주당순이익)

    • BPS는 자산을 말하고, ROE는 성장‧수익을 말하는 것임
    • 이것으로 만들어진 것이 주당순이익 EPS임

     

    ☑ EPS (Earning Per Share, 주당순이익) (편집자 주 – 출처 : 매경시사용어사전)

    •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
    •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됨
    •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며 배당 여력도 많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
    • 주식시장의 패턴이 기업의 수익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면서 주당순이익의 크기가 중요시되고 있음
    • 이른바 블루칩으로 불리는 대형우량주의 주가가 고가이면서도 여전히 선호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주당순이익이 높은 데서 비롯
    • 주당순이익이 상승하고 있는 기업은 주로 신기술·신제품의 시장지배력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는 경우가 많음

     

    ☑ ROE (Return On Equity, 자기자본이익률) (편집자 주 – 출처 : 매경시사용어사전)

    • 경영자가 주주의 자본을 사용해 어느 정도의 이익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, 주주지분에 대한 운용효율을 나타내는 지표
    • 기간이익으로는 흔히 경상이익, 세전순이익, 세후순이익 등이 이용되며, 자기자본은 기초와 기말이 순자산액의 단순평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
    • 주식시장에서는 자기자본이익률이 높을수록 주가도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어 투자지표로도 사용되고, 자산수익률과 더불어 경영효율을 보는 대표적인 재무지표

    2. 적정 주가

    EPS × ROE(100) = 적정 주가

    적정 주가
    ① 적정 주가
    • ROE는 퍼센트이기 때문에 곱하기 100을 해줘야 함
    • 제가 만든 EPS × ROE(100)를 적정 주가라고 하고 싶음
    • 주당순이익(한 주당 버는 돈이 얼마)에다가 곱하기 PER 10, 즉 멀티플 10을 줄 것인지 결정하면 적정 주가가 나옴

    ② 굴뚝주들의 PER 값이 낮은 이유

    • 자산가치가 높은 굴뚝주들 (자동차, 철강, 조선) PER 값이 굉장히 낮음 (멀티플이 10 이하로 나옴)
    • 그 이유는 성장률이 답보 돼 있기 때문 (수많은 설비와 시설 투자를 해야 해서)
    • 적정 주가를 구성하는 ROE를 보면 Return(=Earing)도 적정 주가에 영향을 미치지만, 그 밑에 분모 Equity(자기자본)가 계속 커지게 되면 적정 주가는 내려가게 됨
    • 따라서 대규모 시설이 들어가는 자동차, 철강, 조선 등은 ROE가 낮기 때문에 적정 주가가 높아지기 힘듦 (PER 밸류, 즉 멀티플을 높게 20~30을 주기가 힘듦)

    ③ 어떤 기업에 멀티플을 많이 줘야 할까?

    • 멀티플을 많이 줘야 하는 기업들은 설비 투자가 들어가지 않고 사람이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들, 투자가 많이 들어가지 않아도 금방 성장할 수 있는 기업들
    • 예를 들어 게임, 엔터테인먼트, 바이오, 아마존 같은 언택트 관련 기업들

    3. 주린이를 위한 적정 주가

    (영업이익 or 당기순이익) × ROE(100) = 시가총액

    ① 1년 영업이익이 100억이면 멀티플을 얼마나 줄 것인가?*

    • ROE가 10이면(ROE는 종목 정보에서 다 계산돼 나와 있음) 1,000억(100억×10)이 시가총액으로 적정

    ② 영업이익을 활용하는 이유

    • 일반적인 회사들은 영업을 통해서 일어나는 현금흐름이 가장 정확하기 때문

    • 그러나 자회사가 많거나, 영업손실이 많거나, 영업비용이 많은 회사나, 부동산을 처분해서 들어오는 일시적인 당기순익이 크다면 영업이익으로 해야겠지만 자회사로부터 주기적으로 들어오는 돈이 일정하다면 당기순이익으로 계산해도 됨

    • 일반적인 장비주나 소재주들은 영업이익으로 하고 있음

    ③ ROE와 멀티플

    • ROE는 계산이 돼서 종목에 다 나오기 때문에 (ROE를 참고로) 멀티플을 10을 적용할지 20을 적용할지는 여러분들이 판단해야 함

    • 예를 들어, 성장하는 기업이라면, 1년 후에 더 많은 영업이익을 낸다면 멀티플을 10을 줄지 15를 줄지는 본인이 결정해야 함

    • 애널리스트들도 다 자신들이 결정하는 것임

    • 성장성이 높아진다면 10에서 15를 적용하거나 20을 적용할 수 있음

    ④ 멀티플의 적용

    • 영업이익이나 당기순이익은 1분기부터 4분기까지 다 봐야 함
    • 어떤 회사가 올해 1분기 실적이 잘 나왔고 앞으로도 잘 나올 것 같은 예상이 들면 1분기 실적에다가 미래의 실적을 예상해서 멀티플을 적용해야 함 (이 또한 본인이 결정해야 함)

    • 성장성이 크다고 느껴지는 회사는 멀티플을 높게 주고, 성장성이 답보 돼 있다면 멀티플을 낮게 줌

    • 이를 객관화 시킬 수 없기 때문에 ROE를 적용하자는 것

    • 싸이클이 있는 기업은 (장비주 같은 경우) 실적이 잘 나왔다 안 나왔다 하기 때문에 평균을 내줘야 함

    • 1년 평균을 적용할지, 아니면 과거 경쟁사들의 ROE를 적용할지는 스스로 판단해야 정확한 밸류에이션을 할 수 있게 됨

     

    4. 적정 주가의 이해

    예를 들어, 유상증자해서 주식 수가 늘어나면 주가는 당연히 내려감

    BPS × ROE2(제곱) = EPS × ROE

    적정 주가

    ① Earning = Return

    • 위에서 언급했던 대로 EPS × ROE가 적정 주가라는 것을 보여주는 공식
    •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는 Earning=Return임
    • 버는 게 얼마나 되냐가 적정 주가를 만드는 것임

    ② Share (주식 수) – 주식 수(share)가 늘어나는 기업은 주가가 내려갈 수밖에 없음

    • 예를 들어, 유상증자해서 주식 수가 늘어나면 주가는 당연히 내려감

    ③ Equity (자산) – 자산이 커질수록 적정 주가는 내려감 (분모가 커져서 ROE가 떨어지기 때문, 즉 버는 돈의 비율이 떨어지기 때문)

    • 따라서 설비 투자를 하는 기업들이 적정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문제가 발생
    •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투자자가 다른 공식들을 만들어냄

    5. 기타 적정 주가 구하기

    ① PCR (현금흐름비율) – 현금흐름으로 적정 주가 계산 (대규모 설비 투자기업, 감가상각이 많은 기업)

    • 설비 투자가 많아지면 감가상각은 현금유출이 없는 이익임

    • 그런데 비용으로 잡히기 때문에 이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음

    ☑ 감가상각 depreciation (편집자 주 – 출처 : 매일시사용어사전)

    • 기업이 사용하는 기물이나 설비 등은 해마다 소모되는데, 이러한 가치의 감소분을 보전하는 절차를 감가상각이라고 하고 이와 같이 자산의 이용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감가상각비라 함

    • 기업은 감가분을 제품이나 서비스의 원가에 넣어 적립하여, 이 적립분을 기물이나 설비가 노후했을 때 경신할 자금으로 삼음

    • 감가상각비의 계상방법에는 직접법과 간접법 2가지가 있음

    • ① 직접법은 감가상각액을 해당 고정자산계정 대변에 기입하여 직접 그 고정자산가액을 감하는 방법

    • ② 간접법은 감가상각액을 해당 고정자산 계정은 원래대로 두고 따로 감가상각충당금 비용계정을 마련하여 그 대변에 기입하는 방법

     

    ☑ PCR 현금흐름비율 (편집자 주 – 출처 : 매일시사용어사전)

    • 주식평가수단으로 통산 주가수익률(PER)이 사용되는데, PER는 주가를 주당이익금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가 주당이익금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

    • 그러나 이 PER만의 유용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현금흐름개념이 등장

    • 현금흐름이란 이익에 감가상각비를 합한 것

    • PCR은 이것을 척도로 하는 개념으로, 주당이익 대신에 주당 현금흐름을 써서 나타냄

    • 주가가 일정하다면 PCR은 당연히 PER보다 낮게 될 것이며 기업이익을 고려할 때 PCR이 주가지표로서 타당하다는 견해가 우세

    • 이 개념은 특히 기업분석가들에게는 PER지표와 함께 중요한 투자결정지표로 사용

     

    ② PSR (주가매출액비율)

    • 시가총액 나누기 매출액

    • 매출액이 들쑥날쑥한 기업에 적용

    • 예를 들어, 씨젠의 경우 진단키트가 대박 나면서 올해 영업이익을 7천억 정도 예상

    • 그럼 ROE에다가 멀티플을 10만 준다고 해도 7조가 돼야 함

    • 그러나 이 매출액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적정 주가를 계산하기가 굉장히 어려움

    • 그래서 시총을 매출액으로 나눈 방법을 사용

     

    ☑ PSR (price selling ratio, 주가매출액비율) (편집자 주 – 출처 : 매일시사용어사전)

    • 매출액을 발행주식 수로 나눈 주당 매출액을 주가로 나눈 수치를 말함

    • 기존의 주가수익비율(PER)은 기업의 직접적인 경영 상황과 관계없는 회계처리 방식 변화, 일회성 비용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주가매출액비율을 기업 평가에도 사용

     

    ③ GP/A – 매출총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

    • 부채가 많은 기업에 적용

    • 돈을 빌려서 투자를 열심히 하는 기업들은 평가가 덜 나오기 때문에 적정한 평가를 받기 위해서 GP/A를 사용

     

    ④ EV/EBITDA – 감가상각비를 뺀 현금 유입만을 가지고 시총 대비 얼마만큼 그 돈을 뽑아낼 수 있는지, 몇 년 만에 뽑아낼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음

    • 예를 들어 시총이 1,000억인데 1년에 500억을 벌면 EV/EBITDA는 2가 됨 – 즉, 2년이면 내가 투자한 돈을 다 뽑아낼 수 있다는 뜻

     

    ☑ EV/EBITDA (편집자 주 – 출처 : 매일시사용어사전)

    • 기업의 시장가치(Enterprise Value ; EV)를 세전영업이익(Earnings Before Interest, Tax,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; EBITDA)으로 나눈 값으로, 기업의 적정 주가를 판단하는데 사용

    • 만약 기업의 EV/EBITDA가 2배라고 한다면 해당기업을 시장가격으로 매수했을 때 그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의 2년간 합이 투자원금과 같게 된다는 것을 의미

    • 즉 EV/EBITDA의 수치는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나타내며, 이 수치가 낮다는 것은 기업의 주가가 낮으면서(저평가됨) 영업현금흐름(영업력과 재무구조가 좋음)이 좋다는 것을 의미

     

    ⑤ DCF (현금흐름할인법)

    • 미래 현금 창출

     

    ☑ DCF (Discounted Cash Flow Method, 현금흐름할인법) (편집자 주 – 출처 : 매일시사용어사전)

    • 현금흐름을 적정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구한 현재가치로 기업가치를 측정하는 방법

    • 이 때의 기대되는 현금흐름이란 총현금유입에서 총현금유출을 차감한 순현금유입, 즉, 기업이 영업활동을 유지 또는 확대하면서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한 현금을 의미하며 이를 잉여현금흐름(Free Cash Flow ; FCF)이라 함

    • 따라서 기업의 가치는 미래에 실현될 잉여현금흐름을 자본의 기회비용으로 할인한 현재의 가치로 측정될 수 있는 것

    • 이 평가방법에서 기업가치는 모든 미래의 여유현금흐름을 적정한 할인율(가중평균비용)로 할인한 현재가치로 추정할 수 있다고 전제

    •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외국인 투자자 유치시 많이 원용되고 있는 추세이며, 국내기업의 M&A에서도 인수기업의 가치평가에 사용

     

    ⑥ RIM (잔여이익모델)

    ☑ RIM (Residual Income Model, 잔여이익모델) (편집자 주 – 출처 : 매일시사용어사전)

    • 기업의 미래 예상실적 추정치에서 산출한 초과이익을 통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절대가치 모형

     

    공부가 필요 없는 중장기 투자 방법 알아보기 : 

    Leave a Comment